목록분류 전체보기 (135)
DBA가 되고 싶은 병아리
어느 블로그에 "DB는 신입을 안 뽑는 게 아니다. 실력 있는 신입을 뽑는다." 라는 문구를 본 것을 최근 떠올렸습니다. 왠지 지금까지는 무모한 도전이었던 거 같습니다. 이론적인 것이 아무것도 정립이 안된 상태이고 결과물도 없고. 그런 도중에 구인광고 사이트에 이력서를 넣어놓고 마냥 결과물도 공부한 흔적도 없는 그런 이력서를 넣고 있었으니...... 정말 로또를 맞지 않으면 안될 상황까지 와서 원하는 DB쪽이 아닌 다른 쪽으로 들어와 버린 거 같습니다. 지금은 자회사 솔루션 상황상 오라클 싱글설치는 신나게 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그 외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고 사비를 털어서 몇 천만 원을 들여서 오라클 공부를 했지만 소위 말하는 본전도 못 찾고 있는 상황에 와 있는 것입니다. 얼마 전에 ProDBA..
## for unix $ _DATE=`date +%y%m%d` $ _DIR=/data/exp $ exp asd/asd@asd file = ${_DIR}/file_name_${_DATE}.dmp ## for window c:\> exp asd/asd@asd file = file_name_"%DATE%".dmp ################################################################################# crontab 설정 파일 #!/bin/bash datetime=$(date +%Y%m%d) exp mediasp/mediasp file="/backup/phoenix/phoenixdb_$datetime.dmp" log="/backup/phoenix/phoe..
(1) 로그인 쉘 변경 # passwd -e /bin/bash (2) ~/.bash_profile 생성 # cp /.profile /.bash_profile # vi /.bash_profile ----------------------------- ...... # ENV=~/.kshrc ...... ----------------------------- (3) ~/.kshrc 생성 # cp /.kshrc /.bashrc # vi /.bashrc ----------------------------- ...... # set -o trackall ...... ----------------------------- (4) 로그아웃 -> 로그인 Logout -> Login 출처 : http://cafe.daum.net..
ora-29861라는 코드가 나오는 경우는 인덱스가 재구성되는 중.. 이거나 사용하지 않음 혹은 구성에 실패 한 경우에 나오게 됩니다. 해결책은 해당 인덱스를 drop하고 다시 한번 더 구성하는 게 좋습니다.
여러 칼럼을 조인 할 경우에는 갈 칼럼 이름에 각 칼럼의 값을 가져올 테이블 이름도 붙여줘야 한다. TableName.colname 이번에 꽤 많은 테이블을 조인하는 오라클 쿼리를 작성하면서 모든 칼럼에 테이블 이름을 함께 붙여준 것을 계속 확인했으나 ORA-00918: column ambiguously defined. 이유는... FROM 절에 동일한 테이블 명을 두 번 줬기 때문이다. 동일한 테이블이 조인 될 이유는 없었기 때문에 테이블 이름에 Alias 를 주지 않았었는데, 그러면서 동일한 테이블 이름을 두 번 기입했기 때문이다. 칼럼에 아무리 테이블 이름을 모두 다 붙여도 FROM절이 모호 했던 것이다. 이러한 에러가 나지 않게 하려면 alias를 다르게 잡거나 동일한 테이블을 지정하지 않도록 하..
툴에는 요즈음 강력하게 지원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는 Toad, SQL Developer 등 여러 툴이 있겠지만 가장 기본적인 툴이라면 역시 SQL*PLUS를 꼽을 수 있을 것입니다. 가장 기본적이기에 호환성은 어느 툴에 비해서 강력하게 지원이 되고 쓰기 불편할 수도 있지만 세팅에 따라서는 어떠한 툴보다 좋기 때문에 배우는 입장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툴입니다. 여러 툴의 편리함을 사용하기 보다는 조금 어렵지만 배우는데 도움이 되는 녀석이 좋다고 생각 합니다. SQL PLUS를 사용함에 따라 부가적으로 불편함을 없애려는 노력을 하게됨에 따라 여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오라클의 구조를 이해하는데에 도움이 되기때문입니다.
선입선출(FIFO: First-In-First-Out)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으로 주기억장치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페이지부터 교체하는 알고리즘이다. 페이지들의 주기억장치 적재 순서를 기록 -> 선입선출 큐를 유지 관리한다. page의 적재된 시간을 기억시켜 놓고 그 중 가장 먼저 적재된 page를 교체시키는 방법으로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우나 locality를 전혀 고려 하지 않은 알고리즘이어서 성능은 별로 좋지 않다. 그림 1. FIFO Algorithm Belady의 이상현상(Belady's anomaly) - 실패가 자주 발생할 경우 page frame을 증가시키면, 즉 사용 가능한 메모리를 늘리면 직관적으로 생각할 때 실패가 감소될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수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