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35)
DBA가 되고 싶은 병아리
■ Introduction : 주식 ‘先物(futures)’은 개인 투자자에게 가장 큰 ‘膳物(gift)’ 앞서 살펴본 대로 주식 선물은 충분한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거래량이 어느 정도 늘게 되면 주식 시장에 다 소간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음은 이를 활용할 차례다. 특히, 본 상품은 주식시장이나 지수 선물시장에 있는 개인 투자자들의 매매 패턴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는데, 주식 선물은 ‘제 2의 주식’이라 언 급될 정도로 개인 투자자와 가까운 상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제껏 지수 선물/옵션을 강 건너 불 구경(?)했던 주식시장의 개인 투자자들도 주식 선물로부터는 더 이상 자유로울 수 없다. 본 편에서는 이들이 어떻게 주식 선물을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서 다루었다...
def print_n_times(value,n): for i in range(n): print(value) # print_n_times("안녕하세요",5) # 결과값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print_n_times("안녕하세요",10,20) #인수를 하나더 추가하면 #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 File "z:\HDD1\python_study\param_basic.py", line 5, in # print_n_times("안녕하세요",10,20) # TypeError: print_n_times() takes 2 positional arguments but 3 were given print_n_times("안녕하세요..
# test = ( # "아렇게 입력해도" # "하나의 문자열로 연결되어 " # "생성 됩니다." # ) # print("test : ",test) # print("test : ",type(test)) # 결과값 # test : 아렇게 입력해도하나의 문자열로 연결되어 생성 됩니다. # test :
# example_list = ["요소A","요소B","요소C"] # print("# 단순 출력") # print(example_list) # print() # print("# enumerate() 함수 적용 출력") # print(enumerate(example_list)) # print() # print("# list() 함수 강제 변환 출력") # print(list(enumerate(example_list))) # print() # print("#반복문과 조합") # for i, value in enumerate(example_list): # print("{}번째 요소는 {}입니다.".format(i,value)) 결과 값. # # 단순 출력 # ['요소A', '요소B', '요소C'] # # en..
# for i in range(5): # print(i,end=' ') # list_a = [1,2,3,4,5,6] # list_reversed=reversed(list_a) # print(list_a) # print(list(list_reversed)) # for i in reversed(list_a): # print("-",i) # 결과값 # [1, 2, 3, 4, 5, 6] # [6, 5, 4, 3, 2, 1] # - 6 # - 5 # - 4 # - 3 # - 2 # - 1
# import time # number = 0 # target_tick=time.time()+5 # while time.time() 종료하시겠습니까?(y): n # 1번째 반복문입니다. # >종료하시겠습니까?(y): n # 2번째 반복문입니다. # >종료하시겠습니까?(y): n # 3번째 반복문입니다. # >종료하시겠습니까?(y): y # 반복을 종료합니다.
for i in range(4,0-1,-1): print("현재 반복 변수: {}".format(i)) #시작 숫자, 감소 혹은 증가값??, 정렬 순서?? print() i=5 print (i) print() i=0 while i
a=range(0,10+1) print(list(a)) a=range(0,10,4) print(list(a)) n=10 a=range(0,int(n / 2)) print(list(a)) n=10 a=range(0,n // 2) print(list(a)) for i in range(10+1): print(i,"반복변수") print() for i in range(5,10+1): print(str(i)+"=반복변수") print() for i in range(0,10,3): print(str(i)+"=반복변수") print() array = [273,32,103,57,52] for i in reversed(range(len(array))): print("{}번째 반복: {}".format(i,array[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