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35)
DBA가 되고 싶은 병아리
Direct NFS とは Oracle Database 独自の NFS クライアント。11gR1 以降で使用できる。 Oracle Database 11g リリース2(11.2)では、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カーネルNFSクライアントを使用するかわりに、Oracle内部のDirect NFSクライアントを使用してNFS V3サーバーに直接アクセスするようにOracle Databaseを構成できます。クラスタ用Oracle Grid InfrastructureとOracle RACの記憶域の構成 Direct NFSは、Oracle社によって開発されたNFSクライアントであり、Oracle 11gに付属しています(2007年7月発表)。OracleのDirect NFSクライアントは、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に依存することなく、NFS要求をデータベースから直接発信します。 ..
개인적으로 그린플럼과 엑사데이터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오픈 소스냐 아니냐 하는 것이다. EMC가 Pivotal을 인수하면서 생각한 것은 어플라이언스라는 개념에 DW를 올려서 판매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인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그린플럼은 불편하다. 첫번째로 오픈 소스에서 개발이 되었기 때문에 보장되지 않은 안정성과 개발 회사에서 조차 모르는 에러가 발생할 경우가 많이 있다. 두번째로 그린플럼은 엑사에 비해서 많은 기능 부족을 보인다. EMC는 스토리지의 강점을 이용하여 타사와 차별을 두고 싶은 것으로 보이지만 단순히 스토리지를 이용한 중앙 관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소프트웨어적인 면은………… 글쎄.. 라는 물음표를 꺼낼 수 밖에 없다. 분명이 하나의 커다란 스토리지를 이용하여 클릭 ..
아무래도 오픈소스인 Postgres를 통해 개발된 데이터베이스이기 때문에 체계화되어 있고 쉽게 설치가 가능한 오라클과는 큰차이를 보인다. 물론 오라클도 커맨드를 통한 설치가 가능하지만 그린플럼에 경우는 모든 설치 과정이 사용자의 편의성과 다르게 전문성을 요구하는 것같다. 왜냐하면 전부 커맨드로만 설치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root를 이용하여 설치 하지 않으면 안되는 작업이 대부분이라는 인상을 보인다. 오라클의 경우는 파라메터와 설치 폴더를 제외한 모든 작업이 oracle 계정 그룹으로 이루어지지만 그린플럼의 경우는 개인적인 감상으로는 root의 작업이 절반정도를 차지 한다는 인상을 받는다. 말인 즉슨 그린플럼의 경우는 DBA가 설치에 관여되는 일은 적은 편이라는 이야기 이다. 그리고 오라클의 경우 sin..
[gpadmin@sachi Desktop]$ gpstart 20150526:09:50:59:002823 gpstart:sachi:gpadmin-[INFO]:-Starting gpstart with args: 20150526:09:50:59:002823 gpstart:sachi:gpadmin-[INFO]:-Gathering information and validating the environment... 20150526:09:51:00:002823 gpstart:sachi:gpadmin-[INFO]:-Greenplum Binary Version: 'postgres (Greenplum Database) 4.3.5.1 build 1' 20150526:09:51:00:002823 gpstart:sachi:gpa..
서비쿼리에 대한 기본 내용 이해하기 서브쿼리란?Where절에 비교조건으로 사용되는 Select 쿼리서브쿼리를 이용하여 절차적인 SQL 작성이 쉽다 서브쿼리를 사용하지 않고 조인으로 처리가 가능한 SQL임에도 불구하고, 단지 SQL 작성이 쉽다는 이유하나만으로서브쿼리를 남용 할 경우 => 성능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SQL에 서브쿼리가 여러 개 존재할 경우, Optimizer가 최적화 과정에서 잘못된 Cost 계산을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 서브쿼리를 사용해야 할 경우서브쿼리를 사용해야 의도한 결과 값을 가져올 수 있는 경우서브쿼리를 이용할 경우 성능이 좋아지는 SQL=>두 가지 경우가 아니라면 Join으로 작성하는 것이 Optimizer에게 더 좋다. 서브쿼리의 개수가 많은 SQL -> 비효율적인 실행계..
1. SQL 튜닝의 시작은 SQL의 의미(작성 의도)를 제대로 파악파악하지 못할 경우 원본과 다른 결과 집합이 아닌 다른 집합을 추출할 수도 있기 때문 수행 단축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힌트를 남발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일=> 우선 작성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최대한 좋은 결과를 내는 것 신경써야 할 부분인덱스 구성과 힌트 사용이 적절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실행 계획 상으로는 SQL의 문제점을 찾기가 쉽지 않음 오류->인덱스를 잘못 사용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타 인덱스를 사용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음 따라서 튜닝을 하는 경우 업무 담당자와 상의(문의)할 필요가 있고 그렇지 못한 경우라면 SQL의 작성 의도를 파악
Usage: oracleasm [--exec-path=] [ ] oracleasm --exec-path oracleasm -h oracleasm -V The basic oracleasm commands are: configure Configure the Oracle Linux ASMLib driver init Load and initialize the ASMLib driver exit Stop the ASMLib driver scandisks Scan the system for Oracle ASMLib disks status Display the status of the Oracle ASMLib driver listdisks List known Oracle ASMLib disks querydisk Det..
#Public10.0.2.120 ol6-112-rac1 ol6-112-rac1.localdomain10.0.2.121 ol6-112-rac2 ol6-112-rac2.localdomain#Private192.168.56.120 ol6-112-rac1-privs ol6-112-rac1-privs.localdomain192.168.56.121 ol6-112-rac2-privs ol6-112-rac2-privs.localdomain#Virtual10.0.2.124 ol6-112-rac1-vip ol6-112-scan-vip.localdomain10.0.2.125 ol6-112-rac2-vip ol6-112-scan-vip.localdomain#Scan10.0.2.124 ol6-112-scan ol6-112-sc..